봄철 텃밭을 준비하면서 어떤 작물을 키울지 고민하다가 작년에 도시농부학교를 하면서 심었던 상추 모종을 다시 한번 심는 것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제가 직접 농원에도 방문해 보았습니다.
" target="_blank" rel="noopener" data-mce-href="http:// ">http://
텃밭 농사 무엇을 심을까
상추는 비교적 재배가 쉬운 채소이지만, 언제 어떻게 심느냐에 따라 수확량과 품질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봄, 가을 심지어는 겨울에도 재배가 가능합니다. 그래서 저와 같은 초보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작물 입니다.
상추 모종 심는 최적의 시기
- 봄 재배 (3월~5월) : 가장 일반적인 상추 모종 심는 시기 입니다.
- 가을 재배 (9월~10월) : 더 맛있고 부드러운 잎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겨울 재배 (11월~2월) : 비닐하우스 및 실내 재배가 가능합니다.
적정 재배 환경을 만들어주면 잘 자라납니다. (15~20도) 하지만, 25도 이상이면 잎이 질겨지고, 30도 이상에서는 생육이 둔화되는 현상이 있습니다. 그리고 저온(0도 이하)에서도 생육이 멈출 수 있습니다.
봄철에는 3~4월이 상추 모종 심는 적기로 너무 늦게 심으면 고온으로 인해 생육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target="_blank" rel="noopener" data-mce-href="http:// ">http://
상추 모종 구입 방법
다양한 방법으로 상추 모종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저는 이 방법들 가운데 이번에 지역에 있는 농원을 직접 방문해 보았습니다.
- 전통시장 및 지역 농원 방문
- 대형 마트 & 농협 하나로마트 이용
- 온라인 구매
지역 농원 상추 모종 가격 (3월 기준)
지역 농원에 지금 시기에 방문하면 상추 모종을 쉽게 찾아볼 수 있는데요. 농원마다 가격이 조금 다를 순 있지만 모종 4개에 1,000원 또는 1판에 7,000원에 거래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다른 눈길이 가는 모종 가운데에는 부추 모종이 있었는데요. 부추 모종의 경우 1개 1,000원 그리고 1판으로 구입 시 12,000원에 거래가 되고 있었습니다. 상추 모종 보다는 가격이 높은 편이었어요.
아주 작은 텃밭이 아니라면 판으로 구입하는 것이 유리해 보였습니다.
" target="_blank" rel="noopener" data-mce-href="http:// ">http://
건강한 상추 모종 선택하는 방법
작년에 도시농부학교 수업 과정 가운데 상추 모종을 키우면서 상당한 양을 수확할 수 있었는데요. 직접 파종을 해서 키워보기도 했지만 건강한 모종으로 키운 상추 잎이 더 싱싱하고 맛이 있었습니다.
잎의 색이 선명할 것
잎이 연두빛이거나 노란 기운이 도는 것은 영양이 부족할 경우일 수 있습니다. 짙은 녹색을 띈 윤기 있는 모종을 고르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줄기가 튼튼하고 곧을 것
줄기가 너무 가늘거나 길게 자란 모종은 웃자란 상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손으로 가볍게 흔들어 보았을 때 줄기가 흔들리지 않고 단단한 것이 좋습니다.
뿌리가 건강할 것
모종을 살펴보면 뿌리가 하얗고 촘촘하게 자라 있어야 합니다. 뿌리가 너무 뭉쳐 있거나 검게 변한 것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해충 피해가 없는 것
잎에 벌레 먹은 흔적이 있거나 갈색 반점이 있다면 병해충 피해 가능성이 있습니다. 해충 피해가 없는 깨끗한 모종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target="_blank" rel="noopener" data-mce-href="http:// ">http://
상추 품종 선택하기
농원에는 다녀왔고 이제는 어떤 상추 품종을 심을지 고민해야 하는데요. 아직 최종 결정을 하진 않았지만 가장 일반적인 청상추나 로메인을 심으려고 계획하고 있습니다.
- 청상추 (적상추) : 잎이 부드럽고 쌈용으로 적합합니다.
- 로메인 상추 : 씹는 맛이 좋고 샐러드용으로 인기가 있습니다.
- 곁구상추 (양상추) : 둥글게 자라는 특징이 있으며 햄버거 등에 활용 합니다.
Written by 지니의 도시농부 이야기
'도시농부학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시농부의 텃밭 디자인과 경운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5.03.16 |
---|---|
달걀껍질 천연거름으로 대파키우기 : 파테크 시작 (0) | 2025.03.15 |
씨감자 수미와 두백 품종 : 구매에서부터 싹 틔우기 준비 : 텃밭 농사 (0) | 2025.03.11 |
지생토 가축분퇴비를 활용한 감자심기 텃밭 준비 : 도시농부학교 이후 (0) | 2025.03.09 |
텃밭가꾸기 준비 단계 : 토양 산성화 점검하기 (0) | 2025.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