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농부학교4 도시농부학교의 시농제와 시농제 축문으로 알아보는 전통 농경 문화 시농제는 한 해의 농사를 시작하기 전에 풍년을 기원하고, 농사의 무사 안녕을 기원하는 전통의례입니다. 광명 도시농부학교에서도 매년 학기 중에 학생 및 운영위 분들과 함께 모여 고사를 지내며, 이 시농제는 농경문화의 뿌리를 되새기는 중요한 행사로 드리고 있습니다. ">http:// 시농제의 유래 및 역사시농제는 조선시대부터 전해 내려온 풍속으로, 궁중에서도 임금이 농사를 알리는 '친경례' 를 행하곤 했습니다. 특히 농사 중심의 마을 공동체에서는 매년 봄, 논밭에서 파종을 하기 전 시농제를 열어 조상신과 농사의 신에게 제를 올리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현대 도시농부학교에서의 시농제는 위와같은 시기와 의례를 다 갖추고 하진 않지만 동시농부학교 수강생 분들의 단합을 도모하는 자리로 간결하게 제를 진행하.. 2025. 4. 6. 광명 도시농부학교 19기 수강생 모집 소식 및 텃밭 분양 정보 광명 도시농부학교는 매년 3월에 개강하여 11월까지 도시농업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며 총 26강으로 교육과정이 구성되어 있으며 수강생들은 공동 텃밭에서 계절별 작물 파종과 경작, 생활 속 도시농업, 치유농업 등 다양한 주제를 학습하게 됩니다. ">http:// 광명 도시농부학교 주요 프로그램 및 활동현재 19기 수강생을 모집하고 있으며 모집기간은 2025년 2월 3일(월) ~ 3월 7일(금) 까지 입니다. 참고로 저는 광명 도시농부학교 18기를 수료하였습니다. 교육기간 : 2025년 3월 8일(토) ~ 11월 22일(토)교육대상 및 인원 : 도시농업에 관심이 있는 누구나 / 30명 내외 (선착순)교육장소 및 시간 : 광명텃밭보급소 (광명시 옥길동 70-5).. 2025. 2. 19. 거름만들기와 흙 살리기 / 도시농부학교 토착미생물 배양 및 활용의 일환으로 자가 거름 만들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엔 오줌액비와 음식물찌꺼기 계란껍질 등을 활용한 거름 만들기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거름 만들기 1. 오줌액비 만들기 오줌액비는 질소거름이 필요한 작물 (잎채소) 에 특히 좋습니다. 오줌은 페트 병 이나, 뚜껑이 있는 용기에 모은 다음 뚜껑을 닫아 밀폐합니다. 7~10일 정도 냉암소에 놓아두어 발표시킵니다. 아침, 저녁 해뜨기 전, 해 진후 물 5배와 희석하여 작물에 엽면시비 합니다. 쌀뜨물과 섞어서 발효 할 땐 1:1 비율로 45일 이상 발효해야 합니다. 2. 음식물 찌꺼기 거름 만들기 음식물 찌꺼기는 전 처리 한 것과 염분이 적은 것을 사용합니다. 되도록이면 신선한 것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무 통 준비 작.. 2024. 3. 30. 광명 텃밭보급소에 대해 알아보기 "광명텃밭보급소"는 도시를 경작하는 도시농부들의 비영리 공동체입니다. 교육과정을 수료 후 정회원으로 등록하면 광명텃밭보급소의 밭을 분양받을 수 있습니다. 1. 광명텃밭보급소의 운영 광명텃밭보급소의 회원 및 임원은 아래와 같습니다. 회원 : 도시농부학교 학생, 정회원(후원회원) 등 임원 : 정회원 중 정기총회에서 운영위원에 위촉되면, 운영위원 중 대표를 선출합니다. - 정회원은 후원회원을 말합니다. 2. 광명텃밭보급소가 하는 일 텃밭운영, 도시농업 교육활동, 생태순환 활동, 연대활동 사업, 공동체 활동 등 (1) 텃밭운영 회원 중심의 옥길동 텃논 및 텃밭 경작 활동 (2) 교육활동 다양한 텃밭농장을 운영하고 가정에서 스스로 만들 수 있는 텃밭모델을 전시, 보급합니다. 도시농부를 양성하여 생태적이고 순환적인.. 2024. 3.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