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농부는 일반적으로 작은 면적의 텃밭에 여러 가지 작물을 소량 생산하는 특성이 있으며, 가족들이 먹을 먹거리를 생산하기 때문에 친환경으로 재배하는 것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target="_blank" rel="noopener" data-mce-href="http:// ">http://
텃밭 디자인 하기
텃밭에 재배하고자 하는 여러 작물을 선정하고, 계절별로 해당되는 작물을 재배하기 때문에 주먹구구식보다는 어떤 작물을 어떤 시기에 어떻게 심을 것인지 미리 설계를 하는 것이 텃밭 활동을 함에 있어 좀 더 재미있고 유용합니다.
" target="_blank" rel="noopener" data-mce-href="http:// ">http://
텃밭을 디자인할 때 고려되는 사항
- 텃밭의 성질 이해하기
- 토양의 성질, 볕이 잘 드는지, 그늘이 지는지, 배수관계 등을 고려합니다. - 텃밭의 성질에 부합되는 작물 선정하기
- 텃밭의 테마에 대한 고민하기
- 잎채소, 뿌리채소, 열매채소, 허브류, 야생화 등 활용 - 작부일지 작성해 보기
- 밭을 분할하여 시기별로 재배합니다.
- 3월, 4월, 5월 해당 월별로 심어야 하는 작물이 있으나 3,4월에 밭 전체에 작물을 심게 되면 5월에 정작 심어야 할 작물을 심지 못할 수 있습니다. - 밭 배치도 그려보기
- 키가 크고 작은 작물, 그늘에서 잘 자라는 작물, 습지에서 잘 자라는 작물 등 각 특성을 고려하여 배치도를 그려보면 좋습니다. - 두둑과 고랑의 간격 고려하기
- 이랑은 두둑과 고랑을 뜻하는 말로 가급적 도시농부의 몸이(발) 두둑 위에 올라가지 않는 범위에서 두둑을 만드는 것이 밭을 관리함에 있어 좋습니다. 가급적 두둑은 밟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고랑에서 호미를 들고 두둑 위의 작물을 관리할 수 있는 작업 범위 - 배수와 통풍에 신경 쓰기
- 친환경을 추구하는 텃밭이라면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텃밭에 많은 작물을 심기 위해 밀식 재배를 하는 것은 통풍에 악영향을 끼쳐 병충해에 취약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 방위에 따라 밭 디자인 하기
- 식물의 광합성은 오전부터 정오까지 활발해지고 그 후로부터는 서서히 줄어들기 때문에 밭은 오전에 볕이 잘 드는 곳이 좋습니다.
- 키 작은 작물은 동쪽과 남쪽에 배치하고 키 큰 작물은 서쪽과 북쪽에 배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 기록하는 습관 갖기
- 한 해 농사를 잘 기록하고 기록을 바탕으로 내년에 좀 더 향상된 재배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합니다.
- 그 지역의 날씨, 토양, 환경 등과 규모의 차이, 경제적인 부분과 농사짓는 개인 간의 스타일의 상이로 인하여 결국은 도시농부가 본인에게 맞는 농사 스타일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전년도에 경작했던 일지는 아주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 target="_blank" rel="noopener" data-mce-href="http:// ">http://
도시농부의 경운 활동 알아보기
경운은 쉽게 말해 밭을 갈아엎는 활동입니다. (밭 갈아엎기) 경운을 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도시농부의 경우 밭 규모도 작고 소와 경운기 같은 장비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주고 삽, 괭이, 레기, 호미와 같은 농기구로 밭을 갑니다.
밭갈이(경운)의 주요 과정 및 이유
- 퇴비 등 비료를 밭에 뿌린 후 흙과 같이 섞어 줍니다.
- 삽, 괭이, 레기 등 농기를 활용해 가능한 깊이 섞어 줍니다. - 배수로를 만들어 줍니다.
- 이랑을 만들어 줍니다.
- 딱딱해진 흙을 부드럽게 해 주어 유기물이 잘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줍니다.
" target="_blank" rel="noopener" data-mce-href="http:// ">http://
도시농부에게 텃밭 활동이란
도시농부가 텃밭활동을 한다는 것은 비단 작물을 생산하는 활동에 그치지 않고 텃밭 활동을 여가 활동으로 인식하여 자신의 힐링을 추구할 수 있으며, 도심의 콘크리트 바닥이나 자투리땅을 부르게 가꿈으로 인하여 자연 생태계와 인류가 살아가는 환경에 조금이나마 이바지할 수 있습니다.
Written by 지니의 도시농부 이야기
'도시농부학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쌀뜨물(쌀 씻은 물)을 거름으로 활용할 수 있을까 : 천연 비료 만들기 (0) | 2025.03.30 |
---|---|
싹난 감자 심기 과정 : 큐어링부터 재배 관리방법 (0) | 2025.03.22 |
달걀껍질 천연거름으로 대파키우기 : 파테크 시작 (0) | 2025.03.15 |
텃밭 농사 무엇을 심을까 : 상추 모종 심는 시기와 건강한 모종 선택하기 (0) | 2025.03.14 |
씨감자 수미와 두백 품종 : 구매에서부터 싹 틔우기 준비 : 텃밭 농사 (0) | 2025.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