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름은 작물의 밥 입니다. 농사의 시작은 거름 만들기부터 시작되며 유기 순환 농법을 기준으로 합니다.
1. 거름의 종류
유기질 거름
자연적으로 숙성 발효된 것을 말하며 동식물의 사체, 깻묵, 짚, 톱밥 등이 있습니다. 땅 심을 좋게 합니다.
무기질 거름
인공적으로 만든 화학비료, 요소비료, 복합비료 등 작물을 잘 자라게 하는 효과가 뛰어나지만, 염류피해와 땅을 황폐화 시키는 부작용이 있습니다.
2. 거름의 성분
- 질소 (N) : 작물 생장에 가장 중요한 성분으로 잎이나 줄기를 키우고, 단백질을 공급합니다. 주로 동물의 배설물과 음식물 찌꺼기에 많습니다.
질소성분이 과하면 병해충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작물이 웃자라며, 열매가 부실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질오염, 토양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반면 부족하면, 잎이 노래지고 성장이 늦어지며, 수확량이 적고 작황이 좋지 않습니다. - 인산 (P) : 꽃과 열매를 잘 맺게 하고 수확량을 높입니다. 쌀겨나 뼛가루에 많이 있습니다.
- 칼륨 (K) : 뿌리의 발육을 촉진하고, 병에 대한 저항력을 높입니다. 숯가루, 재, 석회 등에 많이 있습니다.
- 칼슘 (C) : 작물의 골격을 강화하고, 산성토양을 개선합니다. 석회나 조개껍질에 많이 있습니다.
- 마그네슘 (Mg) : 광합성을 하는데 필요한 성분으로 고토 비료 등이 있습니다.
3. 거름 만들기 (1)
- 토양 중에는 세균, 방선균, 사상균, 담자균, 원생동물, 선충, 지렁이 등 다양한 종류의 생물들이 존재합니다.
- 미생물은 유기물속에 있는 탄소를 에너지원으로 하며 질소를 영양원으로 하고 산소, 수분, 온도, 산도, 시간 등의 번식하기에 적합한 좋은 환경이 주어지면 미생물의 숫자가 늘어나면서 유기물을 분해합니다.
- 유기물 중의 탄소와 질소의 비률(탄진율 또는 C/N율)을 30전후로 맞춥니다.
- 퇴비의 고온 발효 시 유기물 중의 유해 병원균과 해충 및 잡초 종자를 고열에 의하여 사멸시킵니다.
- 거름을 만들 때는 건초류, 가축분, 톱밥, 왕겨, 고춧대, 콩대, 나뭇가지 등과 같은 신선유기물을 미생물이 번식하기에 좋은 조건으로 만들어 줍니다.
- 3개월 이상 호기성 발효에서 얻어진 환숙퇴비라야 친환경농업에 도움이 됩니다.
(1) 완숙퇴비
- 분해 가능한 물질이 대부분 분해되었고 토양 속에서 서서히 후분해가 진행되기에 산소 소모가 적고 암모니아 등 가스발생이 적습니다.
- 유해물질과 유해미생물이 거의 없고 유용미생물이 많아서 토양의 비옥도를 좋게 합니다.
(2) 미숙퇴비
- 분해가 거의 안 되었기 때문에 토양에서 분해 속도가 빨라 산소 소모가 매우 많고 메탄, 메틸메르캡탄, 황화수소, 암모니아 등의 발생으로 뿌리가 질식할 우려가 있습니다.
(3) 리그닌이 많은 퇴비
- 리그닌이 많은 소재로 제조된 퇴비는 토양 속에서 토양미생물의 집 역할과 먹이가 되며 장기간 서서히 분해됩니다.
(4) C/N 율
- C/N율이 낮을 경우 질소 공급이 빠르게 나타나고 C/N율이 높을 경우는 질소기아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5) 거름 만들 때 사용을 제한하는 것
- 하수오니 : 합성물질
- 산업폐기물 : 합성 화학물질
- 음식물 찌꺼기 : 인수전염성 병균, 세제 등 합성물질 (상태에 따라 선택)
- 축분 : 항생제, 소독약품, 인수전염성 병균 (대장균, 살모넬라 등)
(6) 뒤집기 작업 중요
- 퇴적 후 2~3주 정도 지나서 온도가 내려가기 시작하면 산소, 수분의 공급과 퇴비의 균질을 꾀하고 완전히 부식시키기 위해 뒤집기 작업을 2~3회 실시합니다.
- 퇴비 무더기를 부셔 나가면서 수분체크를 하여 부족할 때는 보충을 해주고 적당할 때는 그대로 뒤집기를 합니다.
- 퇴비화를 빨리 하기 위해서 쌀겨, 오줌액비 등을 첨가하거나 EM활성액 등을 혼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유해한 병원균과 해충은 발열에 의해 사멸합니다.
Written by 지니의 도시농부이야기
'도시농부학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소 파종 실습 이론 정보 (0) | 2024.04.06 |
---|---|
천연 농자재 만드는 방법 알아보기 (1) | 2024.04.03 |
거름만들기와 흙 살리기 / 도시농부학교 (0) | 2024.03.30 |
텃밭 디자인 및 작물 선택 시 고려할 점 알아보기 (2) | 2024.03.23 |
광명 텃밭보급소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4.03.20 |